티스토리 뷰
사용자 추가 방법
useradd
리눅스의 사용자를 추가할 때 사용한다
사용법
useradd [옵션] 유저이름
옵션
-d : 홈디렉토리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
-g : 그룹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지정할 그룹이 미리 생상되어 있어야한다
-G : 기본그룹 이외에 추가로 지정그룹에 속하게 될 경우 사용한다
-c : 사용자 추가시 사용자에 대한 설명을 설정한다
-s : 사용자 추가시 사용자가 사용할 쉘을 지정한다
-D /etc/default/useradd에 설정된 유저추가와 관련된 기본사항들을 보여준다
유저추가 예제
[root@loacalhost] # useradd user1
user1이라는 사용자와 user1이라는 그룹이 생성되며 , 홈 디렉토리는 /home/user1 디렉토리 로 생성된다
[root@loacalhost] # useradd -g users user1
user1이라는 사용자를 생성하고 기본그룹을 users 로 지정한다 기본그룹은 이미 생성되어 있어야한다
현재 시스템의사용자들을 확인 하려면 /etc/passwd파일을 확인하면 된다
파일확인
[root@loacalhost] # cat/etc/passwd
대략 이런식으로 나온다
user1:x:501:501::/home/user1:/bin/bash
[id]:[pass]:[uid]:[GID]:[설명]:[홈디렉토리]:[쉘]
ID 는 user1 이고 , 비밀번호는 보안울 위해 x로 표시된다 UID는 501이고 GID는 501이다
홈디렉토리는 /home/user1이고 기본쉘로 /bin/bash를 사용한다
비밀번호는 /etc/shadow파일에 암호화되어 관리된다
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는 기본적으로 /etc/skel에 있는 파일들을 /home/사용자명 으로 복사하여 생성된다
'리눅스 웹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ouch 용도 및 정의 (0) | 2009.11.04 |
---|---|
리눅스 디렉토리생성/삭제 (0) | 2009.11.04 |
리눅스 로그아웃 (0) | 2009.11.04 |
리눅스 초기 런 Level 설정하기 (0) | 2009.11.04 |
리눅스 웹서버 종료방법 정리 (0) | 2009.11.04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MYSQL백업
- 리눅스자동백업
- 크론백업
- 바비큐클럽
- TX110
- 웨버매니아
- 레고르245
- 내서버
- 웰본마트
- mysql크론
- 석류자르기
- 곰국끓이기
- DB크론백업
- 서버조립
- 무한카트리지
- 웨버57
- 바비큐타운
- 1번가호스팅
- 리눅스
- TX113
- 사골국
- FSP60APN
- 웹서버
- 곰국
- 곰거리
- SYN_Flooding
- MSI785GTM
- FSP
- 석류먹기
- cron백업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