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MYSQL은 무료커뮤니티형 DB로서
안정성과 거의 대부분의 서비스에 이용이가능한것이 장점입니다
그전에 아래와 같이 개발패키지 들을 설치해줍니다
[root@localhost home]# yum -y install gcc cpp gcc-c++ compat-gcc-32-g77 flex
[root@localhost home]# yum install -y libjpeg-devel libpng-devel freetype-devel gd-devel
설치할 패키지를 다운로드 후 이동합니다
이번설치에서는 5.0.37을 이용합니다
mysql 계정등록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useradd -M -s /bin/false mysql
아래 옵션을 등록해줍니다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./configure --prefix=/usr/local/server/mysql --with-charset=utf8 --with-extra-charsets=all
이후 make && make install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make && make install
약 10분이소요되며 완료후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cp support-files/my-large.cnf /etc/my.cnf
를 만들어줍니다
이후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cd /usr/local/server/mysql/
[root@localhost mysql]# bin/mysql_install_db --user=mysql
[root@localhost mysql]# chown -R root .
[root@localhost mysql]# chown -R mysql var
[root@localhost mysql]# chgrp -R mysql .
차례대로 진행
[root@localhost mysql]# vi ~/.bash_profile
파일에서 PATH 파일을
PATH=$PATH:$HOME/bin:/usr/local/server/mysql/bin
으로 수정후 저장
[root@localhost mysql]# source ~/.bash_profile
이후 mysql을 실행파일등록후 실행시켜준다
[root@localhost mysql]# cp share/mysql/mysql.server /etc/init.d/mysqld
[root@localhost mysql]# chkconfig --add mysqld
[root@localhost mysql]# /etc/init.d/mysqld start
이후 관리자비밀번호 등록
[root@localhost mysql]# mysqladmin -uroot password ********
완료
이후 아파치입니다.
안정성과 거의 대부분의 서비스에 이용이가능한것이 장점입니다
그전에 아래와 같이 개발패키지 들을 설치해줍니다
[root@localhost home]# yum -y install gcc cpp gcc-c++ compat-gcc-32-g77 flex
[root@localhost home]# yum install -y libjpeg-devel libpng-devel freetype-devel gd-devel
설치할 패키지를 다운로드 후 이동합니다
이번설치에서는 5.0.37을 이용합니다
mysql 계정등록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useradd -M -s /bin/false mysql
아래 옵션을 등록해줍니다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./configure --prefix=/usr/local/server/mysql --with-charset=utf8 --with-extra-charsets=all
이후 make && make install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make && make install
약 10분이소요되며 완료후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cp support-files/my-large.cnf /etc/my.cnf
를 만들어줍니다
이후
[root@localhost mysql-5.0.37]# cd /usr/local/server/mysql/
[root@localhost mysql]# bin/mysql_install_db --user=mysql
[root@localhost mysql]# chown -R root .
[root@localhost mysql]# chown -R mysql var
[root@localhost mysql]# chgrp -R mysql .
차례대로 진행
[root@localhost mysql]# vi ~/.bash_profile
파일에서 PATH 파일을
PATH=$PATH:$HOME/bin:/usr/local/server/mysql/bin
으로 수정후 저장
[root@localhost mysql]# source ~/.bash_profile
이후 mysql을 실행파일등록후 실행시켜준다
[root@localhost mysql]# cp share/mysql/mysql.server /etc/init.d/mysqld
[root@localhost mysql]# chkconfig --add mysqld
[root@localhost mysql]# /etc/init.d/mysqld start
이후 관리자비밀번호 등록
[root@localhost mysql]# mysqladmin -uroot password ********
완료
이후 아파치입니다.
'Centos 셋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. PHP 설치 (5.21) (1) | 2012.03.06 |
---|---|
1. Proftpd 설치 (0) | 2012.03.06 |
Centos 시작~부터 웹서버 구동까지 . (0) | 2012.03.06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바비큐클럽
- cron백업
- 곰국
- TX113
- FSP60APN
- 무한카트리지
- 서버조립
- 곰거리
- DB크론백업
- 레고르245
- 웰본마트
- 웹서버
- TX110
- 바비큐타운
- 곰국끓이기
- MSI785GTM
- 석류자르기
- 웨버매니아
- 웨버57
- 1번가호스팅
- SYN_Flooding
- 석류먹기
- 내서버
- 리눅스자동백업
- 리눅스
- MYSQL백업
- mysql크론
- FSP
- 사골국
- 크론백업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